한국은 2025년 본격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면서 고령층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고령친화산업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고령화는 국가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관련 산업 육성과 함께 추진 방안을 선정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뿐만 아니라 지자체, 전문가, 민간기업이 협력하고 대응해야 한다.
고령친화산업 규모도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에는 168조원을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에 국내 기업과 스타트업들은 급변하는 고령화 시대 트렌드에 맞춰 브랜드 강화와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해당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아직까지 실버산업은 정부의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시작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고령자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고령친화기술(AgeTech)을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한다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본 보고서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령친화산업의 분야별 국내외 트렌드 동향과 고령친화기술 적용 및 제품개발 사례, 정책동향 등을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