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6차 보고서는 2050년 지구의 평균기온이 2.8도 상승하여 세계 인구 중 최대 33억명이 홍수와 식량, 수자원 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1년 말 에너지 가격 급등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을 초래했으며, 2022년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에너지 안보 이슈를 부각시켰다. 이에 따라 기후위기와 화석에너지 가격 급등, 에너지 안보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으며, 미래 신성장동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술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대적 신재생에너지는 2021년 세계에너지 최종 소비의 12.6%, 2022년 세계 총 발전량의 29.9%를 점유했다. 한국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2017년 848만 950toe에서 연평균 13.35% 증가하며 2021년 1,400만 317toe로 확대됐으며, 총 1차 에너지에 대한 비율도 2017년 2.80%에서 2021년 4.58%로 1.78%p 증가했다. 특히, 2021년 한국 태양광 생산량은 2017년 대비 364만 4,484toe 증가로 최대이며, 연료전지(70만 9,914toe 증가)와 바이오(66만 4,794toe 증가), 풍력(21만 5,323toe 증가)도 20만toe 이상 증가했다. 한편, 2021년 기준 한국 신재생에너지 사업체수는 10만 7,833개(전년대비 31.65% 증가), 종사자수는 14만 953명(전년대비 19.35% 증가)을 기록했으며, 매출액도 2021년 대비 13.56% 증가한 28조 8,087억원으로 확대됐다.
이에 본 연구소는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 동향과 태양광, 태양열, 풍력, 바이오, 수력, 수열, 연료전지, 폐기물, 지열, 해양, IGCC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주요 11개 분야에 대한 세계 및 한국 시장 동향을 종합 분석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분야별 유망 기술개발 현황과 유망 기술 기업의 사업 동향을 수록했다.
본서는 데스크리서치 기반으로 자료 업데이트를 통해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발간된 열두 번째 보고서로 신재생에너지 시장 참여 업계와 연구 및 정책기관의 시장이해와 마케팅, 경영전략 수립 등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향후에도 본 연구소는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고서 발간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및 업계의 시장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드릴 것을 약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