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육상 교통수단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용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 교통수단(eVTOL)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이·착륙 인프라 등을 포함하는 항공교통 체계를 의미하는 UAM에 관한 글로벌 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UAM은 도심과 주변 광역권을 아우르는 미래 교통수단(AAM)으로 개념 및 범위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UAM 시장에 대하여 Morgan Stanley는 기술스타트업 중심의 UAM 산업에 글로벌 항공사들이 본격 참여하면서 UAM 시장 규모가 `20년 80억 달러에서 ’40년까지 1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하였으며, 기체개발/제작사, 운송사업자, 교통관리서비스공급자(PSU), 버티포트 운용자, 부가정보서비스제공자(SDSS) 등 다양한 주체들로 생태계가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어 산업적 파급력은 매우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2021년 행정부 R&D 예산 우선 집행대상으로 ‘미래산업 선점분야인 eVTOL 인증’을 지정하여 일직부터 UAM 상용화 기반에 중점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일본은 2018년 발족한 항공모빌리티 혁명을 위한 민관협의회를 통해 민간의 eVTOL 개발 및 UAM 준비현황을 공동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2022년에는 ‘항공 모빌리티 혁명 로드맵’ 개정안도 발표하였고. EU와 중국 등도 미래시장인 UAM시장에서 글로벌 리더쉽 확보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2024년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운송수단으로써 선보일 계획이며, 일본도 2025년 오사카 엑스포를 앞두고 UAM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국토부는 2025년 국내 UAM 상용화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도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을 수립(’20.1월)하여 도심항공교통관제 등 UAM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K-UAM 그랜드 챌린지를 통해 가치사슬별로 기체, 인프라, 운영시스템 등 컨소시엄을 형성하여 본격 실증에 나서며 산업 진흥과 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향후 UAM 상용화 및 대중화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고, 특히 UAM의 사회적 수용성 연구 및 법제도 마련, 사고대응 및 보험제도, 요금제 등 기반 마련과 함께 조종사 육성·개발인력양성 등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시장 선점을 위해 핵심기술 확보 및 인프라 구축, 국제 협력(FAA, EASA)을 통한 인증체계 확립 및 글로벌 표준화 추진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당사에서는 글로벌 UAM·AAM시장에 대하여 관련 기술 및 시장 동향과 기업전략, 주요국 정책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모쪼록 관련분야 종사자와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